노구치 히데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구치 히데요는 1876년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태어난 세균학자이다. 그는 2살 때 화상을 입었지만, 주변의 도움으로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1897년 의사 면허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뱀독 연구를 시작했으며, 록펠러 의학연구소에서 매독, 황열병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매독 스피로헤타를 발견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일부 연구 결과는 후대에 부정되기도 했다. 노구치는 1928년 황열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관과 기념 사업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나와시로정의 역사 - 스리아게하라 전투
1589년 다테 마사무네가 아시나 가문을 격파한 스리아게하라 전투는 다테 마사무네의 영토 확장과 아시나 가문 내부 분열을 배경으로, 다테 마사무네가 남 오슈의 패자가 되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슈 시오키로 영지를 몰수당했으며, 문화적 영향도 남겼다. - 황열로 죽은 사람 - 알렉산더 셀커크
알렉산더 셀커크는 선장과의 불화로 무인도에 자발적으로 고립되어 4년 4개월간 생활한 스코틀랜드 선원으로, 그의 표류 경험은 소설 《로빈슨 크루소》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귀환 후 해군 복무 중 황열병으로 사망했다. - 황열로 죽은 사람 - 클라라 마스
클라라 마스는 미국-스페인 전쟁과 필리핀-미국 전쟁에 참전한 독일계 미국인 간호사로, 황열병 연구를 위해 모기에 물리는 실험에 자원했다가 황열병으로 사망했다. - 일본의 생리학자 - 시가 기요시
시가 기요시는 메이지 시대의 세균학자이자 면역학자로, 이질균인 시겔라를 발견하여 학명에 그의 이름이 명명되었으며, 결핵 연구와 BCG 백신 도입에도 기여했지만, 경성제국대학 총장 재임 시절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일본의 생리학자 - 하시다 구니히코
하시다 구니히코는 일본의 생리학자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 도쿄 제국대학 의학과 졸업 후 생리학 교수로 전기생리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전시 체제 하 교육 시스템 구축에 관여했고, '과학하는 마음'이라는 문구를 처음 사용했으며,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책임을 지고 자살했다.
노구치 히데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노구치 히데요 (野口 英世) |
본명 | 노구치 세이사쿠 (野口 清作) |
출생일 | 1876년 11월 9일 |
출생지 | 일본 후쿠시마현 야마군 이나와시로정 미쓰와 마을 (현 이나와시로정) |
사망일 | 1928년 5월 21일 |
사망지 | 영국령 골드코스트 아크라 (현재 가나 아크라) |
거주지 | 미국 뉴욕주 뉴욕 |
국적 | 일본 |
분야 | 세균학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제생학사 (현 일본 의과 대학) |
직장 | 록펠러 의학연구소 |
지도 교수 | 모리노스케 치와키 |
주요 업적 | 매독 연구, 트레포네마 팔리디움 발견 |
훈장 및 기타 | |
수상 | 정오위, 훈2등 욱일중광장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Noguchi Hideyo |
2. 어린 시절
1876년 후쿠시마현 이나와시로에서 태어난 노구치 히데요의 어릴 적 이름은 노구치 세이사쿠[4]였다. 그는 2살(만 1세) 때 이로리에 떨어져 왼손에 심각한 화상을 입었다. 작은 마을에는 의사가 없었지만, 한 남자가 아이를 진찰하고 "왼손 손가락은 대부분 없어졌고, 왼팔, 왼발, 오른손에도 화상을 입었습니다. 얼마나 심한지 모르겠습니다."라고 말했다.[5]
1883년 미츠와 초등학교에 입학한 노구치는 고바야시 선생과 학우들의 도움으로 왼손 수술을 받아 기능의 70% 정도를 회복하게 되었다. 그는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자신을 수술해 준 와타나베 카나에(渡部鼎일본어) 박사에게 의학을 배웠다. 이후 일본 의과 대학의 전신인 제생학사(濟生學舍)에 입학하여 1897년 20세의 나이로 의사 자격 시험에 합격했다.[169]
노구치는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초등학교 선생님이자 아버지와 같은 존재였던 고바야시 사카에,[8] 손 수술을 집도한 와타나베 가나에,[9] 도쿄치과대학 설립자인 치와키 모리노스케[10] 등 세 명의 주요 후원자가 있었다.
1898년 노구치는 쓰보우치 쇼요의 소설에서 자신과 같은 이름의 의대생을 읽고 이름을 히데요로 바꿨다. 소설 속 인물 세이사쿠는 노구치처럼 총명했지만 게을러져 인생을 망쳤다.[6]
2. 1. 출생과 성장
노구치 히데요는 1876년 11월 9일 후쿠시마현 야마군 오키지마촌(현 이나와시로정)에서 우편 배달부였던 아버지 노구치 사요스케와 어머니 시카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원래 이름은 세이사쿠(清作)였다.[108] 1878년, 한 살 때 이로리에 빠져 왼손에 큰 화상을 입었다.[109]1883년, 미쓰와 초등학교에 입학했다.[110] 왼손 장애로 인해 농사일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학문을 통해 살아가도록 어머니의 권유를 받았다.[111] 초등학교 시절에는 왼손의 큰 화상으로 인해 "세이 봇코"(清ボッコ)라고 불리며 괴롭힘을 당했다.[112]
1889년, 이나와시로 고등소학교 교두였던 고바야시 에이가 뛰어난 성적을 인정하여, 그의 주선으로 이나와시로 고등소학교에 입학했다.[113] 1892년, 왼손 장애를 한탄하는 세이사쿠의 작문이 고바야시를 비롯한 교사와 동급생들의 동정을 불러일으켜 수술 비용 모금이 이루어졌고, 아이즈와카마쓰에서 개업하고 있던 와타나베 가나에에게 왼손 수술을 받았다. 그 결과, 불편하지만 왼손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세이사쿠는 이 수술의 성공에 감격하여 의사를 꿈꾸게 되었다.
1893년, 이나와시로 고등소학교를 졸업한 후 와타나베가 경영하는 아이즈 요 병원(会陽医院)에 기숙하며 약 3년 반 동안 의학의 기초를 배웠다. 1898년, 쓰보우치 쇼요의 소설 속 인물과 같은 이름 때문에 '히데요(英世)'로 개명했다.[119]
2. 2. 학창 시절과 수술
1876년 후쿠시마현 이나와시로에서 태어난 노구치 히데요는 2살 때 이로리에 떨어져 왼손에 심각한 화상을 입었다. 작은 마을에는 의사가 없었기 때문에 왼손 손가락들이 거의 문드러지고 말았다.[169]1883년 미츠와 초등학교에 입학한 노구치는 고바야시 선생과 학우들의 도움으로 왼손 수술을 받아 기능성의 70% 정도를 회복하게 되었다. 그는 자신을 수술해 준 와타나베 카나에(渡部鼎일본어) 박사의 도제가 되어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일본 의과 대학의 전신인 제생학사(濟生學舍)에 입학하여 1897년 20세의 나이로 의사 자격 시험에 합격했다.[169]
3. 의학도의 길
노구치는 방대한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연구 스타일을 보였다. 수백 개의 시험관과 수천 개의 슬라이드를 사용하는 등 엄청난 양의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얻었다.[135] 이러한 연구 방식 때문에 당시 미국 의학계에서는 노구치를 "실험 기계", "일본인은 잠을 자지 않는다" 등으로 비웃기도 했다.[136]
1911년과 1912년에 록펠러 의학연구소에서 노구치는 투베르쿨린 검사와 유사한 매독 피부 검사법 개발을 시도했다. 뉴욕의 진료소와 병원에서 모집된 피험자들에게 루에틴이라는 매독 추출물을 주사하여 피부 반응을 관찰했다. 피험자 중에는 매독 환자뿐만 아니라 매독에 걸리지 않은 고아와 입원 환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는데,[143] 특히 2세에서 18세 사이의 건강한 어린이들도 있었다.[140][141] 노구치는 피험자들에게 실험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고 동의를 얻지 않았다.[142] 이 때문에 당시 생체실험 반대 운동가들은 노구치가 취약 계층의 권리를 침해했다고 비판했다.[143][144]
라이프지는 만약 연구자가 환자들에게 무서운 질병과 관련된 혼합물을 주사할 허락을 구했다면 환자들이 거절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145] 록펠러 연구소의 제롬 D. 그린은 노구치와 동료 연구자들이 추출물을 먼저 자신에게 시험했기 때문에 매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노구치 자신은 1913년에 매독 진단을 받고도 치료를 거부했다.[143] 1912년 5월, 뉴욕 아동 학대 방지 협회는 노구치에 대한 고발을 요청했지만 기각되었다.[146]
미국에서 피험자 보호를 위한 법률이 제정되고 인체 실험에 대한 충분한 합의(informed consent)가 이루어지게 된 것은 20세기 후반의 일이었다.[143]
3. 1. 의사 면허 취득과 초기 경력
1893년 3월, 노구치는 이나와시로 고등소학교를 졸업하고 와타나베가 운영하는 아이즈 요 병원(会陽医院)에서 약 3년 반 동안 의학의 기초를 배웠다.[9] 1896년 9월, 의사 면허 취득을 위해 상경하여 의술 개업 시험 전기 시험(필기시험)에 합격했다. 방탕한 생활로 자금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으나, 치와키 모리노스케의 도움으로 고산 고등치과의학원(현 도쿄치과대학)에서 학동으로 일하며 학업을 이어갔다.[10] 1897년, 세이세이가쿠샤(현 일본 의과 대학)에서 공부해 21세의 나이로 의사 면허 시험에 합격했다. 그는 임상의의 길 대신 기초 의학 연구자의 길을 택하여 고산 고등치과의학원 강사, 준텐도 병원(順天堂医院) 조수로 근무했다.3. 2. 전염병 연구소 근무와 개명
1898년 10월, 노구치 히데요는 기타사토 시바사부로가 소장으로 있던 전염병 연구소(현 도쿄대학 의과학연구소)에서 외국 도서 담당, 통역 등으로 근무했다.[11] 같은 해 8월, 소설 속 인물과 자신의 이름이 비슷하고, 방탕한 생활을 했던 자신을 반성하며 '히데요(英世)'로 개명했다.1899년 5월, 전염병 연구소 장서 매각 사건에 연루되어 근무에서 제외되었으나, 기타사토 소장의 주선으로 요코하마항 검역소 검역관 보로 근무했다.[11] 같은 해 6월, 요코하마항에 입항한 선박에서 페스트 환자를 발견, 진단했다.[11] 같은 해 10월, 청나라에서의 페스트 대책 국제 방역반에 선발되어 활동했다.[11]
4. 미국 유학과 연구 활동
노구치 히데요는 록펠러 의학연구소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등에서 연구 활동을 하며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1년에 19편의 논문을 발표할 정도로 왕성한 연구 활동을 보였으며,[35] 사이먼 플렉스너는 그의 연구를 "초인적인" 것이라고 묘사했다.[36]
노구치는 완벽주의적이고 고집스러운 성격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을 어려워했다.[38] 그는 "내가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정확히 모르는 사람이 간섭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라고 말하며, 스스로 시험관을 씻고 혼합물을 가는 등 모든 실험 과정을 직접 처리했다.[38] 동료들은 그의 작업 방식에 대해 우려를 표했지만, 그는 "결과를 보라"며 자신의 연구 방식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37]
1901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플렉스너 박사의 조수로 뱀독 연구를 시작했다.[170] 이후 실라스 위어 미첼 박사의 지도를 받으며 뱀 독에 관한 연구를 진행, 미국 국립 과학원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영예를 얻었다.[14] 1909년에는 뱀 독에 관한 단행본 "Snake Venoms"를 발표했다.[18]
1904년, 록펠러 의학연구소로 자리를 옮겨 매독, 소아마비, 광견병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24] 1911년에는 매독 스피로헤타의 순수 배양에 성공했다고 발표하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으나,[31] 다른 과학자들이 재현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논란이 일었다.[31] 1913년에는 진행성 마비 환자의 뇌에서 매독균을 발견하여 매독과 진행성 마비의 관계를 규명하기도 했다.[172]
1918년부터 황열병 연구에 매진하여 백신 개발을 위해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를 여행했다.[65] 그러나 황열병의 원인에 대한 그의 이론은 오류로 밝혀졌으며, 결국 1928년 아크라에서 황열병으로 사망했다.[69] 그의 유언은 "난 이해할 수가 없어"(''I don't understand영어'')였다고 한다.[177]
4. 1. 미국으로의 도미
1900년, 노구치는 미국으로 건너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사이먼 플렉스너 박사의 조수로 취직하여 독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170] 일본에서 의사직을 얻기 어려웠던 것이 미국행의 동기 중 하나였는데, 왼손의 장애가 환자들에게 영향을 줄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직에서는 신체장애가 문제가 되지 않았다.[171]플렉스너는 노구치에게 뱀 독 연구 경험을 물었고, 노구치는 경험이 많지 않았지만 "예, 선생님. 저는 그것에 대해 조금 알고 있습니다. 더 배우고 싶습니다."라고 답하며 결단력을 보였다.[12] 1901년 1월 4일, 노구치는 플렉스너 밑에서 연구를 시작했으나, 월급이 적어 생활고를 겪었다.[12]
플렉스너는 노구치의 지식 부족에도 불구하고, 그가 뱀 독에 관한 250페이지 분량의 논문을 쓴 것을 보고 감명을 받았다.[13] 이후 실라스 위어 미첼 박사의 지도를 받게 되었고, 미첼과 함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학 저널에 공동 연구 논문을 발표하며 첫 공식 출판물을 남겼다.[13]
미첼 박사와 노구치는 국립 과학원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는 당시 미국 과학자들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영예 중 하나였다.[14] 미첼은 노구치의 노력을 칭찬하며 "제가 30년간의 연구를 마무리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젊은이의 엄청난 노력 덕분입니다."라고 말했다.[15]
1907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는 노구치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15] 미첼은 그를 카네기 펠로우십에 추천했고, 노구치는 카네기 연구소와 국립 과학원으로부터 연구 자금을 지원받게 되었다.[15]
이후 노구치는 코펜하겐의 덴마크 국립 혈청 연구소에서 혈청학 연구를 수행하며 토르발드 마드센과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18] 1903년에는 마드센과 함께 북미 방울뱀에 대한 최초의 성공적인 혈청과 치료법 중 하나를 개발했다.[20] 그는 항독소 사용의 새로운 옹호자가 되었으며, 그의 연구는 북미 방울뱀에 대한 최초의 항독소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21][22]
1909년, 노구치는 뱀 독에 관한 단행본 "Snake Venoms: An Investigation of Venomous Snak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henomena of Their Venoms"를 발표했다.[18]
4. 2. 록펠러 의학연구소 시절
1904년, 노구치 히데요는 사이먼 플렉스너의 제안으로 록펠러 의학연구소로 자리를 옮겨 본격적인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24] 1911년, 매독 스피로헤타의 순수 배양에 성공했다고 발표하여 세계 의학계에 이름을 알렸다.[31] 당시 플렉스너는 노구치에게 매독균의 순수 배양에 집중하라고 지시했으며, 노구치는 수백 개의 시험관과 수천 개의 현미경 슬라이드를 사용하며 연구에 매진했다.[31] 그는 순수 배양 성공을 확신하며 어린 시절 스승에게 "마치 천국에서 춤추는 것 같다"라고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31]하지만 다른 과학자들이 노구치의 순수 배양 성공을 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논란이 일었다.[31] 현대에는 노구치의 파상풍균(Treponema pallidum) 순수 배양이 재현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29]
1913년, 노구치는 진행성 마비 환자의 뇌에서 매독을 일으키는 스피로헤타균, 트레포네마 팔리디움(''Treponema pallidum'')을 발견하여 매독과 진행성 마비의 관계를 규명했다.[172] 그는 정신 질환이 유기적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정신 질환과 신체 질환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립했다.[33]
록펠러 의학연구소 시절, 노구치는 소아마비, 광견병 병원체 특정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으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후대에 부정되었다.[35]
노구치는 연구에 몰두하며 1년에 19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35] 동료들은 그의 완벽주의적 성격과 고집 때문에 함께 일하기 어려워했지만, 그는 "결과를 보라"며 자신의 연구 방식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37]
4. 3. 황열병 연구와 최후
1918년, 노구치는 황열병 백신 개발 연구를 위해 국제보건위원회와 함께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를 여행했다.[65] 에콰도르에 체류하는 동안 에콰도르 군에서는 노구치에게 명예 대령 지위를 수여했다. 노구치는 황열병 연구에 집중했는데, 이는 매독과 스피로헤타에 대한 그의 경험 때문이었다.[48][34] 그는 이 질병이 스피로헤타에 의해 발생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멕시코의 메리다로 여행을 가서 바이엘스병에 걸린 환자들이 황열병과 유사한 황달 증상을 보이는 것을 목격하고, 이를 ''렙토스피라 이크테로헤모라기애''로 확인하면서 잘못된 결론으로 황열병의 원인이라고 선언했다.[34]그의 연구 경력 동안, 황열병이 바이러스인지 박테리아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였으며, 바이러스는 1892년에 발견되었다.[66] 노구치는 다음 10년 동안 황열병의 원인이 박테리아라는 그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심지어 그는 황열병 백신을 개발했다고 생각하기도 했다.[18]
1927년 9월 영국의 병리학자 에이드리언 스톡스가 황열병으로 사망한 후,[67] 황열병이 노구치가 믿었던 것처럼 ''렙토스피라 이크테로이데스''라는 박테리아가 아니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이 점점 더 분명해졌다.[18] 다른 과학자들이 그의 연구 결과를 재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의 연구는 의문을 받게 되었다.[34] 그는 가나의 골드코스트(현재의 가나)로 여행을 준비하여 황열병을 연구하고 표본에 더 가까이 다가가려고 했다.
자신의 명성이 위태롭다고 느낀 노구치는 추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라고스로 서둘러 갔다. 그러나 그는 라고스의 작업 환경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골드코스트 아크라에 있는 영국 의학 연구소의 젊은 소장인 윌리엄 알렉산더 영 박사의 초청으로 그는 1927년 아크라로 이주하여 이곳을 자신의 근거지로 삼았다.

그러나 노구치는 매우 다루기 힘든 손님임이 드러났고, 1928년 5월이 되자 영은 자신의 초청을 후회했다. 노구치는 비밀스럽고 변덕스러워 다른 연구원들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거의 밤에만 일했다. 그의 변덕스럽고 무책임한 행동은 1913년에 진단받은 치료받지 않은 매독 때문일 수 있으며, 이는 신경 매독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8] 록펠러 재단의 또 다른 연구원인 오스카 클로츠의 일기[68]에는 노구치의 성격과 행동이 변덕스럽고 편집증에 가까웠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의 방법은 엉망이었다.

클로츠에 따르면, 노구치는 수많은 원숭이에게 황열병을 접종했지만 적절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노구치는 자신이 개발한 백신을 접종받았기 때문에 자신이 황열병에 면역이라고 믿었을 가능성이 있다.[18] 그는 신경 매독으로 고통받으면서 정신 상태가 악화되어 기억 상실과 인격 변화를 겪었다.
그의 연구는 황열병에 대한 부정확한 접근 방식을 취했고 당시 연구와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았다.[18] 나중에 그가 황열병을 ''렙토스피라증''과 혼동했으며, 그의 백신은 와일병 치료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18]
젊은이에게 거듭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노구치는 감염된 모기를 안전한 용기에 보관하지 못했다. 1928년 5월, 자신의 이론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한 노구치는 아프리카에서 6개월을 보낸 후 뉴욕으로 돌아갈 예정이었지만 라고스에서 병이 들었다.[18] 노구치는 배를 타고 귀국할 예정이었지만 5월 12일 아크라에 상륙하여 병원으로 옮겨졌다. 그는 황열병 진단을 받았고, 얼마 후 5월 21일에 사망했다.[69] 그의 유언은 "난 이해할 수가 없어"(''I don't understand영어'')였다고 한다.[177]
집으로 보낸 편지에서 젊은이는 이렇게 적었다. "그는 월요일 정오에 갑자기 죽었습니다. 일요일 오후에 그를 보았는데, 그는 미소를 지으며, 다른 것들 중에서 "당신은 정말 괜찮습니까?"라고 물었습니다. "괜찮습니다."라고 제가 대답하자 그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70]
7일 후, 현장과 특히 노구치의 실험실을 철저하게 살균했음에도 불구하고, 젊은이 자신도 황열병으로 사망했다.[71]
5. 논란과 비판
노구치 히데요는 뱀 독 연구와 혈청 개발에 기여했지만, 그의 연구 방법과 윤리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1901년, 노구치는 사이먼 플렉스너의 도움으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뱀 독 연구를 시작했다. 실라스 위어 미첼 박사와 함께 뱀 독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하며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13][14] 미첼 박사는 노구치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지만, 그가 서구 사회에 적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15][13] 당시 노구치는 뱀에게 산 토끼를 먹이는 것에 대해 잔인하다고 비판했지만, 동료 연구원들은 그를 지나치게 감상적이라고 여겼다.[16]
이후 코펜하겐의 덴마크 국립 혈청 연구소에서 혈청학 연구를 수행하며 토르발드 마드센과 함께 북미 방울뱀에 대한 혈청을 개발했다.[18][20] 1909년에는 뱀 독에 관한 단행본 "Snake Venoms"를 발표하기도 했다.[18]
하지만, 노구치는 생전에 발표한 많은 연구 업적들이 사후에 부정되거나 재현에 실패하면서 비판을 받았다. 특히 매독 스피로헤타 순수 배양, 소아마비 및 광견병 병원체 특정, 황열병 병원체 등은 현대 미생물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178]
5. 1. 인체 실험 스캔들
1911년과 1912년, 노구치 히데요는 뉴욕의 록펠러 연구소에서 바서만 반응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매독 피부 반응 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인체 실험을 진행했다.[51]윌리엄 H. 웰치 교수는 노구치에게 인체 실험을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51] 실험 대상자들은 뉴욕시 전역의 진료소와 병원에서 모집되었으며, 의사들은 루에틴(luetin)이라고 불리는, 활성이 없는 매독 생성물을 환자의 팔뚝에 피하 주사했다.[51] 피부 반응은 건강한 사람과 매독 환자 간에, 그리고 질병의 단계와 치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52]
571명의 피험자 중 315명이 매독 환자였고, 나머지는 대조군이었다.[53] 대조군 중에는 2세에서 18세 사이의 고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53] 대부분은 말라리아, 나병, 결핵, 폐렴과 같은 질병으로 치료받고 있던 병원 환자들이었으며, 자신들이 실험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고 동의를 할 수도 없었다.[53]
당시 반생체해부론자들은 록펠러 연구소가 취약한 고아와 병원 환자들의 권리를 침해했다고 비판했다.[51] 실험 대상자들이 실험을 통해 매독에 감염되었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51][54]
노구치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노구치가 루틴 검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물 실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했다.[51] 제롬 D. 그린은 노구치가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자신과 동료 연구원들에게 먼저 실험을 했다고 지적했다.[51]
1912년 5월, 뉴욕 아동 학대 방지 협회는 뉴욕 지방 검사에게 노구치를 기소할 것을 요청했지만, 기소는 거부되었다.[55] 실험 대상자 중 누구도 매독에 감염되지 않았지만, 록펠러 연구소는 동의 없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51]
앨버트 레핑웰은 제롬 D. 그린의 발언에 대해 "만약 루틴 검사가 어떠한 위험도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었다면, 록펠러 연구소는 불편함에 대한 보상으로 20달러 또는 30달러의 사례금을 제공함으로써 얼마든지 많은 자원자를 확보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라고 말했다.[51]
노구치의 실험 당시 의학 분야에서 동의는 일반적인 관례가 아니었다.[54] 미국은 20세기 후반까지 비윤리적 인체 실험에 대한 충분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으며, 이는 정보에 입각한 동의와 환자의 권리에 관한 더 많은 법률 제정으로 이어졌다.[51]
5. 2. 연구 윤리 문제
노구치는 1911년과 1912년에 뉴욕의 록펠러 연구소에서 매독 진단에 있어 바서만 반응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매독 피부 반응 검사를 연구하고 있었다.[51] 이 실험에서 노구치는 루에틴(luetin)이라고 불리는, 활성이 없는 매독 생성물을 환자의 팔뚝에 피하 주사했다.[51] 피부 반응은 건강한 사람과 매독 환자 간에, 그리고 질병의 단계와 치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연구 대상이 되었다. 루에틴 검사는 선천성 매독과 후기 매독 환자에게 거의 100%의 양성 반응을 보였다.[52]571명의 피험자 중 315명이 매독 환자였다.[53] 나머지 피험자들은 대조군이었는데, 그중 일부는 2세에서 18세 사이의 고아였다.[53] 대부분은 말라리아, 나병, 결핵, 폐렴과 같은 질병으로 치료받고 있던 병원 환자들이었으며, 자신들이 실험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고 동의를 할 수도 없었다.[53]
당시 비판은 주로 반생체해부론자 운동에서 제기되었는데, 록펠러 연구소가 취약한 고아와 병원 환자들의 권리를 침해했다는 것이었다. 반생체해부론자들 사이에서는 실험 대상자들이 실험을 통해 매독에 감염되었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51][54]
노구치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노구치가 루에틴 검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물 실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했다.[51] 제롬 D. 그린 록펠러 연구소 경영 관리자는 반생체해부협회에 보낸 편지에서 노구치가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자신과 동료 연구원들에게 먼저 실험을 했다고 지적했다.[51]
1912년 5월, 뉴욕 아동 학대 방지 협회는 뉴욕 지방 검사에게 노구치를 기소할 것을 요청했지만, 기소는 거부되었다.[55] 실험 대상자 중 누구도 매독에 감염되지 않았지만, 록펠러 연구소는 동의 없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51]
앨버트 레핑웰은 제롬 D. 그린의 발언에 대해 "만약 루에틴 검사가 어떠한 위험도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었다면, 록펠러 연구소는 불편함에 대한 보상으로 20달러 또는 30달러의 사례금을 제공함으로써 얼마든지 많은 자원자를 확보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라고 말했다.[51]
노구치의 실험 당시 의학 분야에서 동의는 일반적인 관례가 아니었다.[54] 예를 들어, 미생물학의 선구자 중 한 명인 로베르트 코흐는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아프리카에서 수면병 치료법을 찾기 위해 의료 강제 수용소를 운영했고, 그 결과 환자 중 일부는 시력을 잃게 되었다. 루이 파스퇴르는 9세 소년 조제프 마이스터를 대상으로 의료 면허 없이 실험을 진행했는데, 비록 성공적이었지만 동물 실험을 실시했다는 주장에 대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56][57]
미국은 20세기 후반까지 비윤리적 인체 실험에 대한 충분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으며, 이는 정보에 입각한 동의와 환자의 권리에 관한 더 많은 법률 제정으로 이어졌다.[51]
5. 3. 연구 성과의 재검토
노구치 히데요는 생전에 많은 연구 업적을 발표했지만, 사후 재검토 결과 일부는 부정되거나 재현에 실패했다. 특히 매독 스피로헤타 순수 배양, 소아마비 및 광견병 병원체 특정, 황열병 병원체 등은 현대 미생물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178]6. 사생활
1901년 노구치 히데요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사이먼 플렉스너에게 일자리를 간청하여 뱀 독 연구를 시작했다.[12] 한 달에 8달러를 벌었지만, 플렉스너는 그의 연구 능력에 감명을 받았다.[12][13] 실라스 위어 미첼 박사의 지도 아래 뱀 독에 관한 공동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국립 과학원에서 발표하는 영예를 얻었다.[13][14] 미첼은 노구치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지만, 서구 사회에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했다.[15][13]
1907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고 카네기 연구소와 국립 과학원의 지원을 받는 연구원이 되었다.[15] 코펜하겐의 덴마크 국립 혈청 연구소에서 혈청학 연구를 수행하며 토르발드 마드센과 우정을 쌓았다.[18] 1903년 북미 방울뱀에 대한 혈청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항독소 사용의 옹호자가 되었다.[20][21] 1909년에는 뱀 독에 관한 단행본을 발표했다.[18]
1917년 장티푸스에 걸려 건강이 악화되었으나, 션데이컨에서 요양하며 회복했다.[47][18] 션데이컨에 집을 짓고, 1918년, 1922년, 1925년부터 1927년까지 여름을 그곳에서 보냈다.[9][48]
1911년과 1912년, 록펠러 연구소에서 매독 진단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매독 피부 반응 검사를 연구했다.[51] 이 과정에서 고아와 병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동의 없이 실험을 진행하여 비판을 받았다.[53] 당시 의학 분야에서 동의는 관례가 아니었지만, 20세기 후반 미국에서 비윤리적 인체 실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정보에 입각한 동의와 환자의 권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54][51]
6. 1. 결혼과 가족

노구치 히데요는 1912년 4월 10일 메리 로레타 다르디스(Mary Loretta Dardis)와 비밀리에 결혼했다.[39] 두 사람은 같은 나이였고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다. 메리의 가족은 아일랜드 이민자였다. 메리는 메이즈(Maize)라는 애칭으로 불렸고, 남편인 노구치를 히데(Hide)라고 불렀다.[18] 노구치의 결혼은 가족, 친구, 상사 모두에게 비밀로 유지되었다.[40] 사이먼 플렉스너는 노구치가 미국 여성과 결혼하는 것을 반대했고 일본인과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노구치는 메리가 자신의 연금에 포함되어야 했기 때문에 결혼이 승진에 위험을 초래할까 봐 걱정했다.[39] 그의 결혼은 사망할 때까지 몇몇 친구를 제외하고는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다.[18]
노구치와 메리는 센트럴 파크 웨스트 381번지에 아파트를 얻었다.[41] 노구치는 부엌을 실험실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메리는 종종 노구치가 부엌에서 현미경으로 작업하는 동안 소설을 읽었다.[42] 노구치는 종종 밤늦게 록펠러 연구소에서 시간을 보냈고, 사람들은 그에게 왜 집에 가지 않는지 묻곤 했다. 그의 평소 대답은 "집이요? 여기가 제 집입니다."였다.[43] 훗날 사람들은 노구치가 관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렇게 열심히 일했다고 생각했지만, 편지를 통해 노구치가 남미와 아프리카를 여행할 때조차도 메리가 그의 일에서 벗어날 수 있는 안식처를 제공했음을 알 수 있다.[43]
노구치는 이웃인 일본인 화가이자 사진작가인 호리 이치로(Ichiro Hori)와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39] 두 사람은 함께 장기를 두었다. 노구치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한 호시 하지메(Hajime Hoshi)와도 친구가 되었는데, 둘 다 후쿠시마현 출신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친해졌다.[8] 호시는 일본으로 돌아가 도쿄에서 성공적인 제약 사업을 시작했다.[8] 그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던 노구치의 이름을 그의 제약 회사 자문으로 사용했고, 호시는 그에 대한 보상을 제안했지만 노구치는 그것을 자신의 이나와시로 가족에게 주라고 했다.[8]
6. 2. 인간 관계
노구치는 어린 시절 은사인 고바야시 사카에에게 자주 편지를 썼고, 고바야시는 노구치에게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을 허락했다.[8] 그의 어린 시절 스승은 노구치에게 일본으로 돌아와 경력을 쌓도록 격려했다.[40] 1915년 9월 일본에 귀국했을 때 임피리얼 호텔에서 스승인 치와키 모리노스케와 고바야시를 만나 그들에게 금시계를 선물로 주었다.[45]노구치는 이웃인 일본인 화가이자 사진작가인 호리 이치로와 친하게 지냈으며, 함께 장기를 두었다.[39]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한 호시 하지메와는 후쿠시마현 출신이라는 공통점으로 친구가 되었다.[8] 호시는 일본으로 돌아가 도쿄에서 성공적인 제약 사업을 시작했는데,[8]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던 노구치의 이름을 회사 자문으로 사용했다. 호시는 이에 대한 보상을 제안했지만, 노구치는 그것을 이나와시로 가족에게 주라고 했다.[8]
덴마크 국립 혈청 연구소에서 함께 연구한 동료 세균학자 토르발드 마드센과는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그들의 우정은 늦은 나이까지 계속되었고, 주고받은 편지들은 보존되어 있다.[18]
6. 3. 취미와 성격
노구치 히데요는 나니와부시, 장기, 바둑, 유화 등의 취미를 가지고 있었다.[18] 호리 이치로(Hori Ichiro)에게서 유화 물감을 선물받아 샌드에이큰(Shandaken)에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으며, 그의 그림은 히데요 노구치 기념 박물관(Hideyo Noguchi Memorial Museum)에 전시되어 있다.[49] 아마추어 사진작가로서 일본인의 최초 컬러 사진 중 하나를 찍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오토크롬 루미에르라는 초기 컬러 사진 기법을 사용했다.[50]그는 방대한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험주의적인 연구 스타일을 고수했다.[31] 동료들은 담배꽁초로 덮인 그의 작업대를 걱정했지만, 그는 "결과를 보라지, 담배꽁초를 보지 말라"고 말했다.[37] 시험관 표시 체계가 없음을 동료들이 우려했지만, 노구치는 모두 암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31] 완벽주의적이고 고집스러운 성격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을 어려워했으며, 스스로 시험관을 씻고 혼합물을 갈았다.[38]
노구치는 금전 감각이 둔하고 돈을 함부로 쓰는 경향이 있었다.[8] 유흥을 즐기는 등 방탕한 면모도 보였다.[47]
7. 사후 평가와 영향
노구치 히데요는 1907년 7월 9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15] 미첼 박사는 그를 카네기 펠로우십에 추천했고, 노구치는 국립 과학원과 카네기 연구소의 지원을 받는 공식 연구원이 되었다.[15] 파울 에를리히는 그에게 축하 편지를 보냈다.[17] 이후 덴마크 국립 혈청 연구소에서 혈청학을 연구하며 토르발드 마드센과 여러 논문을 썼다.[18]
1903년 노구치와 마드센은 북미 방울뱀에 대한 최초의 성공적인 혈청과 치료법 중 하나를 개발했다.[20] 노구치는 항독소 사용의 옹호자였으며,[21] 그의 연구는 북미 방울뱀 항독소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22] 1909년에는 뱀 독에 관한 단행본 "Snake Venoms: An Investigation of Venomous Snak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henomena of Their Venoms"를 발표했다.[18]
1912년 4월 10일, 노구치는 메리 로레타 다르디스와 비밀리에 결혼했다.[39] 이 결혼은 가족, 친구, 상사에게 비밀이었으며, 사망할 때까지 몇몇 친구를 제외하고는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다.[40][18]
노구치는 이웃인 일본인 화가이자 사진작가 호리 이치로와 친한 친구였다.[39]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한 호시 하지메와도 친했는데, 둘 다 후쿠시마 출신이라는 공통점 때문이었다.[8] 호시는 일본에서 성공적인 제약 사업을 시작했고, 노구치의 이름을 회사 자문으로 사용했다.[8]
그의 사후 평가는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그리고 후대에 미친 영향으로 나뉜다.
7. 1. 긍정적 평가
노구치 히데요는 가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세계적인 세균학자로 성장한 입지전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1913년 록펠러 연구소 재직 중, 진행성 마비 환자의 뇌에서 매독을 일으키는 스피로헤타균인 트레포네마 팔리디움(Treponema pallidum)을 발견하여 매독이 뇌 질환의 원인임을 밝혀낸 업적은 현대 의학사에서 중요한 성과로 인정받고 있다.[172] 이 발견으로 정신 질환이 신체 질환과 연관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33]그의 이름을 딴 렙토스피라 노구치(Leptospira noguchii)라는 스피로헤타균이 있을 정도로 그의 학문적 영향력은 컸다.[172] 뱀 독 연구, 록키산 홍반열에 대한 항혈청 개발, 진단 검사 개발, 리슈만편모충증 병원체 및 오로야열을 동반한 카리온병 확인 등 다양한 전염병 연구에 기여했다.[80][18] 그는 2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하며 왕성한 연구 활동을 펼쳤고, 유럽 전역에서 강연을 하기도 했다.[35]
1921년에는 미국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81] 노벨 생리학·의학상 후보로 여러 차례 지명되기도 했다.[26] 그는 단네브로 훈장 기사 작위(1913, 덴마크),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 컴맨더 십자훈장(1913, 스페인), 북극성 훈장 컴맨더 십자훈장(1914, 스웨덴), 욱일장(1915), 황실상(1915, 일본학사원) 등 일본과 외국의 여러 훈장을 받았다.[85][86][87][88][89] 교토 제국대학(1909), 도쿄 제국대학(1914), 에콰도르 중앙대학교(1919), 산마르코스 국립대학교(1920), 과야킬 대학교(1919), 예일 대학교(1921) 등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84][87][90][83]

사후에도 그의 업적은 계속 기려지고 있다. 1979년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가나대학교에 노구치 히데요 기념 의학연구소(NMIMR)가 설립되었고,[94] 2004년부터는 일본 1000엔 지폐에 그의 초상화가 사용되고 있다.[97]
7. 2. 부정적 평가
노구치 히데요는 몇몇 연구에서 오류를 범하고 비윤리적인 인체 실험을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연구 성과가 과장되었다거나 학력을 위조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72]1911년과 1912년에 노구치는 투베르쿨린 검사와 유사한 매독 검사를 연구하면서 뉴욕의 병원과 진료소에서 피실험자들을 모집하여 팔에 매독균 추출물을 주사했다. 이 피실험자들 중에는 2세에서 18세 사이의 미성년자도 있었으며, 당시 비평가들은 노구치가 고아와 환자들의 인권을 침해했다고 비난했다.[173][174] 결국 노구치는 일부 아동 피실험자들의 부모에게 고소를 당했다.[175]
사후 그의 연구들이 재검토되면서 소아마비, 광견병, 트라코마, 황열병의 병원체를 발견했다는 그의 주장은 증명되지 못했다.[178] 사이먼 플렉스너 박사에게 초청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는 기존의 통설도 거짓으로 밝혀졌으며, 실제로는 노구치가 무작정 플렉스너를 찾아가 채용을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179]
그가 ''Noguchia granulosis''가 트라코마의 원인이라고 밝힌 연구는 사망 1년 만에 의문이 제기되었고, 곧 뒤집혔다.[73][74] 광견병 병원체를 확인한 연구도 마찬가지였다.[75] 그가 고안한 세균 배양 배지가 심각한 오염에 취약했기 때문이다.[76]
1928년 노구치 사후, 황열병이 바이러스임을 명확하게 확인하고 증명할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1931년에 개발되기 전까지는 그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 비록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이 이전부터 황열병이 바이러스일 가능성을 이해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77] 록펠러 연구소의 다른 연구원은 노구치가 "황열병의 병리학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말하며, 자신의 주장에 대한 철회를 거부한 것을 비판했다.[78] 비판가들은 이를 록펠러 연구소의 동료 심사 시스템 내부의 결함으로 묘사한다.[79]
7. 3. 후대에 미친 영향

노구치 히데요는 생전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소아마비, 광견병, 트라코마, 황열병의 원인을 발견했다는 그의 연구 결과 중 일부는 재현되지 못했다.[72] ''Noguchia granulosis''가 트라코마의 원인이라고 밝힌 연구는 사망 1년 만에 의문을 제기받았고, 곧 뒤집혔다.[73][74] 광견병 병원체를 확인한 연구도 마찬가지로, 그가 고안한 세균 배양 배지가 심각한 오염에 취약했기 때문이다.[75][76]
1928년 노구치 사후, 황열병이 바이러스임을 명확하게 확인하고 증명할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1931년에 개발되기 전까지는 그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이 이전부터 황열병이 바이러스일 가능성을 이해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77] 록펠러 연구소의 다른 연구원은 노구치가 "황열병의 병리학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고 말하며, 자신의 주장에 대한 철회를 거부한 것을 비판했다.[78] 비판가들은 이를 록펠러 연구소의 동료 심사 시스템 내부의 결함으로 묘사한다.[79]
노구치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매독의 원인균 (''Treponema pallidum''균)을 뇌수막뇌염으로 인한 부분 마비 환자의 뇌 조직에서 확인한 것이다.[80] 그 외 지속적인 공헌으로는 혈청 내 뱀 독의 사용, 록키산 홍반열에 대한 항혈청 개발, 진단 검사, 그리고 리슈만편모충증 병원체와 오로야열을 동반한 카리온병의 확인 등이 있다.[80][18] 그는 다양한 전염병에 대한 2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유럽 전역에서 강연 여행을 한 다작 과학자 중 한 명이다.[35]
1921년 그는 미국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81] 하지만 매독 배양에 성공했다는 그의 주장은 재현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21세기에 노벨 재단 기록 보관소가 공개되어 연구가 가능해졌다. 노구치는 노벨 생리학·의학상 후보로 1913년-1915년, 1920년, 1921년, 그리고 1924년-1927년에 지명되었다.[26] 노구치의 수상 후보 지명과 매독 및 황열병에 대한 연구 중 일부는 면밀한 조사를 받았다.[82][18]
노구치는 일본과 외국의 훈장을 받았다. 그는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을 때, 윌리엄 라이언 필립스는 스페인, 덴마크, 스웨덴의 국왕들이 상을 수여했지만, "아마도 그는 왕실의 영예보다도 사람들의 존경과 감사를 더욱 높이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83]
- 교토 제국대학, 의학 박사, 1909.[84]
- 단네브로 훈장 기사 작위, 1913 (덴마크).[85]
-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 컴맨더 십자훈장, 1913 (스페인).[86]
- 북극성 훈장 컴맨더 십자훈장, 1914 (스웨덴).[87]
- 도쿄 제국대학, 이학 박사, 1914.[87]
- 욱일장(욱일장), 1915.[88]
- 황실상, 일본 학사원 (일본), 1915.[89]
- 에콰도르 중앙대학교, 1919, (에콰도르).[90]
- 산마르코스 국립대학교, 1920, (페루)
- 메리다 의과대학, "명예 의학 및 외과 박사", 1920 (멕시코)
- 과야킬 대학교, 1919, 에콰도르.[90]
- 예일 대학교, 1921, (미국).[83]
-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 작위, 1924[91]
- 일본 정부, 서열 5등급, 1925
노구치의 유해는 미국으로 송환되어 뉴욕시 브롱크스의 우드론 묘지에 안장되었다.[92] 1928년, 일본 정부는 노구치에게 훈장 8등급 중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인 욱일장 금은성훈장을 수여했다.[93]
1979년, 일본 정부의 기부금으로 가나대학교 레곤 캠퍼스(아크라 북쪽 교외)[95]에 노구치 히데요 기념 의학연구소(NMIMR)가 설립되었다.[94] 1981년에는 페루 정부와 JICA(일본국제협력기구)의 자금으로 리마에 "호노리오 델가도 - 노구치 히데요" 국립정신건강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Salud Mental)가 설립되었다.[96]
노구치 박사의 초상화는 2004년부터 일본 1000-엔 지폐에 인쇄되어 있다.[97] 또한, 그가 태어나 자란 이나와시로 근처의 집은 보존되어 그의 삶과 업적을 기리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유카탄 자치대학교(Universidad Autónoma de Yucatán)의 http://www.cir.uady.mx/ Centro de Investigaciones Regionales Dr. Hideyo Noguchi에서는 노구치의 이름을 기리고 있다.[98] 에콰도르 과야킬 시내에는 노구치 히데요 박사의 이름을 딴 2.1km 길이의 거리가 있다.
일본 정부는 2006년 5월 고이즈미 준이치로(Junichiro Koizumi) 총리의 아프리카 공식 방문과 노구치 히데요 박사 사후 80주년을 기념하여 2006년 7월 새로운 국제 의학 연구 및 서비스 상인 노구치 히데요 아프리카상을 제정했다.[99] 이 상은 아프리카에서 다양한 전염병 퇴치 또는 혁신적인 의료 서비스 시스템 구축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개인에게 수여된다.[100] 시상식과 수상자 강연은 2008년 4월 말 제4차 도쿄 국제 아프리카 개발 회의와 동시에 개최되었다.[101] 2009년에는 상의 이름이 붙여진 인물을 기리는 또 다른 방법으로 회의 장소가 도쿄에서 요코하마로 변경되었다. 1899년 노구치 박사는 요코하마 항만 검역소에서 조수 검역 의사로 근무했다.[102] 이 상은 5년마다 수여될 것으로 예상된다.[103] 이 상은 정부 자금과 민간 기부금의 결합을 통해 가능해졌다.[104]
- 위인전으로는 전전부터 자주 다뤄지는 인물이었다. 사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30년의 잡지 『웅변』의 광고에는 “물 마시는 농민에서 세계적인 학자가 된” 노구치가 소개되었다.[161]
- 노구치 히데요 기념 의학상 - 재단법인 노구치 히데요 기념회가 뛰어난 의학 연구에 수여하는 상. 1957년(쇼와 32년) 창설.[162]
- 1979년(쇼와 54년), 사망지인 가나 공화국에서 일본의 원조로 노구치 기념 의학연구소가 설립되었다.[163]
- 2004년(헤이세이 16년) 11월 1일 이후 발행되고 있는 일천 엔 지폐(일본은행권 E권)의 초상화가 되었다.[164]
- 2004년(헤이세이 16년) 9월 13일, 노구치 히데요의 출신지에 따라 후쿠시마현야마군이나와시로정의 “오키지마 우체국”이 “노구치 히데요의 마을 우체국”[165]으로 개칭되었다.
- 노구치 히데요 아프리카상 - 일본에서 개최되는 아프리카 개발 회의에서 수여되는 상. 의학자가 주요 수상 대상이 된다.
7. 4. 한국과의 관계
노구치 히데요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의학 발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비록 원문에 한국과 관련된 직접적인 활동 기록은 없지만, 그의 연구 업적과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학교) 의학부 교수진과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유추할 수 있다.특히 노구치의 매독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 1909년, 바서만 반응을 개선하고 척수액을 이용한 부티르산 검사법을 개발했다.[27] 1910년에는 "매독의 혈청 진단" 논문을 발표하여 의사들의 매독 진단에 크게 기여했다.[28] 이러한 매독 연구는 당시 조선 의학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구치의 연구 업적 중 일부는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반영한다는 비판도 있다.
참조
[1]
뉴스
Dr. Noguchi is Dead, Martyr of Science
https://www.nytimes.[...]
1928-05-22
[2]
웹사이트
Hideyo Noguchi (1876–1928)
https://embryo.asu.e[...]
2024-05-30
[3]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野口英世の生涯/明治9年~明治24年
http://www.tdc.ac.jp[...]
[5]
서적
NOGUCHI
Harper
[6]
논문
Hideyo Noguchi (1876-1928): Distinguished bacteriologist
2014-10-01
[7]
논문
Hideyo Noguchi's Luetin Experiment and the Antivivisectionists
https://www.jstor.or[...]
1985-03-01
[8]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9]
논문
The Villa of the Late Dr. Hideyo Noguchi in Shandaken, New York State and the Tokyo Dental College
https://archive.org/[...]
1999-01-01
[10]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11]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12]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13]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14]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Hardcover
Kodansha USA
[15]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16]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17]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18]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19]
웹사이트
How Snake Antivenom is Developed?
https://vocal.media/[...]
2021-01-01
[20]
서적
S. Weir Mitchell, 1829–1914: Philadelphia's Literary Physicia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1]
논문
History of Envenoming Therapy and Current Perspectives
2019-01-01
[22]
웹사이트
Fame, Failure, and Yellowjack
http://forms.asm.org[...]
2004-05-01
[23]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Maverick's Progress
https://books.google[...]
[25]
뉴스
Streetscapes/Rockefeller University, 62nd to 68th Streets Along the East River; From a Child's Death Came a Medical Institute's Birth
https://query.nytime[...]
2001-02-25
[26]
웹사이트
Hideyo Noguchi
https://www.nobelpri[...]
2011-08-07
[27]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28]
논문
Hideyo Noguchi (1876–1928): Distinguished bacteriologist
2014-10-01
[29]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30]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son University Press
[31]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son University Press
[32]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son University Press
[33]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34]
논문
Noguchi's Contributions to Science
https://www.science.[...]
2004-01-01
[35]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2005-07-01
[36]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37]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
[38]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39]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
[40]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0
[41]
서적
Noguchi
Harper
1931
[42]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43]
학술지
Primera centuria de la presencia de Hideyo Noguchi en el Perú
https://www.redalyc.[...]
2020
[44]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0
[45]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
[46]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47]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48]
서적
Noguchi
Harper
1931
[49]
웹사이트
Hideyo as His Natural Self
https://www.noguchih[...]
[50]
웹사이트
Color photo of Hideyo Noguchi after 100 years (from Alumni Journal No. 401)
https://tdc-alumni.j[...]
2015-10-26
[51]
학술지
Hideyo Noguchi's Luetin Experiment and the Antivivisectionists
https://www.jstor.or[...]
1985-03
[52]
학술지
Value of Organic Latin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Syphilis: A Study of Nine Hundred Cases
https://jamanetwork.[...]
1934-11
[53]
학술지
Experimental research in syphilis with especial reference to Spirochaeta pallida (Treponema pallidum)
https://zenodo.org/r[...]
1912
[54]
서적
Subjected to Science: Human Experimentation in America before the Second World Wa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55]
서적
Subjected to Science: Human Experimentation in America before the Second World Wa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7
[56]
웹사이트
Robert Koch's dubious legacy in Africa
https://www.dw.com/e[...]
[57]
웹사이트
The Other Side of Louis Pasteur's Discoveries in Science and Medicine
https://historyofvac[...]
[58]
서적
Noguchi
Harper
1931
[59]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60]
서적
Noguchi
Harper
1931
[61]
서적
Noguchi
Harper
1931
[62]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Kodansha USA
2005-07-01
[63]
웹사이트
From Fukushima to Ghana: Noguchi Hideyo, the Peasant Boy Who Made It
https://margaretmehl[...]
2024-08-29
[64]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Rutherford, N.J. :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0
[65]
학술지
Hideyo Noguchi (1876-1928): Distinguished bacteriologist
2014
[66]
학술지
Discovery of the first virus, the tobacco mosaic virus: 1892 or 1898
https://pubmed.ncbi.[...]
2001
[67]
뉴스
Prof. Adrian Stokes Dies of Yellow Fever – British Pathologist Succumbs in Africa to Disease He Went There to Study
https://www.nytimes.[...]
1927-09-22
[68]
학술지
Diary Notes on a Trip to West Africa in Relation to a Yellow Fever Expedition under the Auspices of the Rockefeller Foundation, 1926, by Oskar Klotz.
http://www.cbmh.ca/i[...]
1997-01-01
[69]
뉴스
Dr. Noguchi is Dead, Martyr of Science. Bacteriologist of Rockefeller Institute Dies of Yellow Fever on Gold Coast. Japanese, Ranked With Pasteur and Metchnikoff, Found Carrier of Own Disease.
https://www.nytimes.[...]
2009-08-26
[70]
개인서한
personal letter
1928-05-23
[71]
논문
Obituary, Dr. W.A. Young
1928-07-07
[72]
서적
Corrupted Science
https://archive.org/[...]
Facts, Figures & Fun
[73]
서적
Seeking the Light: The Lives of Phillips and Ruth Lee Thygeson
[74]
논문
The Problem of the Etiology of Trachoma Rickettsia
[7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edicine
WB Saunders Co.
[76]
논문
Faults and Fallacies in Microbiology: The Fourth Marjory Stephenson Memorial Lecture
[77]
간행물
Hideyo Noguchi's Research on Yellow Fever (1918-1928) In The Pre-Electron Microscope Era
http://www1.gifu-u.a[...]
2013-10-29
[78]
서적
Tom Rivers: Reflections on a Life in Medicine and Science: An Oral History Memoir
M.I.T. Press
[79]
서적
Noguchi and his patrons
[80]
웹사이트
Dr. Hideyo Noguc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 to Africa
http://www.cao.go.jp[...]
[81]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5-03
[82]
비디오
Hideyo Noguchi Africa Prize
http://nettv.gov-onl[...]
2007-04-26
[83]
뉴스
Angll Inaugurated at Yale Graduation; New President Takes Office Before a Distinguished Audience of University Men; 784 Degrees are given; Mme. Curie, Sir Robert Jones, Archibald Marshall, J.W. Davis and Others Honored
https://timesmachine[...]
New York Times
1921-06-23
[84]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85]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86]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87]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88]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89]
서적
Dr. Noguchi's Journey: A Life of Medical Search and Discovery
[90]
웹사이트
Noguchi & Latin America
http://www.mofa.go.j[...]
Jap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91]
웹사이트
Japanese Wikipedia
[92]
뉴스
A Place for All Eternity In Their Adopted Land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97-09-01
[93]
뉴스
Mikado Honors Dr. Noguchi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28-06-02
[94]
웹사이트
Global Health Project
http://www.med.upen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8-03-12
[95]
웹사이트
Noguchi Institute (NMIMR)
http://ffhtechnical.[...]
University of Ghana
2009-01-07
[96]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Salud Mental Honorio Delgado - Hideyo Noguchi
http://www.insm.gob.[...]
[97]
웹사이트
Valid Bank of Japan Notes, as of August 2004
http://www.boj.or.jp[...]
Bank of Japan
2009-03-25
[98]
웹사이트
Universidad Autónoma de Yucatán - 2016 - Directorio Universitario
http://www.uady.mx/d[...]
[99]
웹사이트
Commemorative Lecture: The First Hideyo Noguchi Africa Prize
http://sciencelinks.[...]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2012-03-28
[100]
웹사이트
Noguchi Prize, history
http://www.rockfound[...]
Rockefeller Foundation
2007-05-23
[101]
웹사이트
Noguchi Prize, chronology
http://www.cao.go.jp[...]
Japan, Cabinet Office
[102]
웹사이트
Noguchi, life events
http://www.town.inaw[...]
Hideyo Noguchi Memorial Museum
2010-08-24
[103]
웹사이트
Noguchi Prize, WHO/AFRO involved
http://www.af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01-30
[104]
뉴스
Noguchi Africa Prize short by 70% of fund target
http://www.yomiuri.c[...]
Yomiuri Shimbun (Tokyo)
2008-03-30
[105]
웹사이트
野口英世記念財団
http://www.noguchihi[...]
[106]
웹사이트
会津若松市 野口英世について
http://www.city.aizu[...]
[107]
서적
生命科学者たちのむこうみずな日常と華麗なる研究
河出書房新社
2019
[108]
웹사이트
野口英世の父・佐代助
https://www.minyu-ne[...]
[109]
일반
없음
[110]
일반
없음
[111]
일반
없음
[112]
서적
野口英世―21世紀に生きる
日本経済評論社
2004
[113]
일반
없음
[114]
웹사이트
血脇守之助ちわきもりのすけ ~野口英世の育ての親~
https://abiko.cda.or[...]
我孫子市歯科医師会
2020-07-31
[115]
웹사이트
若松栄町教会のあらまし
http://etsuya.cocolo[...]
日本基督教団若松栄町教会
2013-05-03
[116]
일반
없음
[117]
서적
野口英世―21世紀に生きる
日本経済評論社
2004
[118]
일반
없음
[119]
일반
없음
[120]
일반
없음
[121]
일반
없음
[122]
논문
NOTES ON THE CULTIVATION OF TREPONEMA PALLIDUM
1915
[123]
논문
Demonstration of Sprochaeta pallida in the cerebrospinal fluid from a patient with nervous relapse following the use of salvarsan
1913
[124]
논문
Cultivation of Virulent Treponema pallidum in Tissue Culture
1981
[125]
논문
PURE CULTIVATION OF SPIROCHÆTA PHAGEDENIS (NEW SPECIES), A SPIRAL ORGANISM FOUND IN PHAGEDENIC LESIONS ON HUMAN EXTERNAL GENITALIA
1912
[126]
웹사이트
『官報』第8302号
https://dl.ndl.go.jp[...]
1911-02-27
[127]
웹사이트
『官報』第632号
https://dl.ndl.go.jp[...]
1914-09-08
[128]
웹사이트
100年の時を経た野口英世のカラー写真(同窓会報第401号より)
http://tdc-alumni.jp[...]
東京歯科大学同窓会
2020-07-26
[129]
웹사이트
帝国学士院編『授賞審査要旨 大正4年』
https://dl.ndl.go.jp[...]
帝国学士院
1915
[130]
일반
없음
[131]
뉴스
半旗を掲げるロックフェラー研究所
大阪毎日新聞
1928-05-24
[132]
뉴스
米国各紙が弔詞を掲載
東京日日新聞
1928-05-24
[133]
서적
20世紀全記録 クロニック
講談社
1987-09-21
[134]
간행물
『官報』第4030号「叙任及辞令」
1926-02-02
[135]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995
[136]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995
[137]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995
[138]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995
[139]
서적
フィラデルフィアの野口英世
三修社
1987
[140]
논문
Experimental research in syphilis with especial reference to Spirochaeta pallida (Treponema pallidum)
1912
[141]
논문
A cutaneous reaction in syphilis
https://rupress.org/[...]
[142]
서적
医療倫理の夜明け
[143]
서적
Subjected to Science: Human Experimentation in America before the Second World Wa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4]
논문
Hideyo Noguchi's Luetin Experiment and the Antivivisectionists
1985-03
[145]
잡지
Too Much Courtesy
[146]
서적
Subjected to Science: Human Experimentation in America before the Second World Wa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7]
서적
野口英世
[148]
서적
なかのとおるの生命科学者の伝記を読む
学研メディカル秀潤社
[149]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50]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51]
논문
A DEMONSTRAION OF TREPONEMA PALLIDUM IN THE BRAIN IN CASES OF GENERAL PARALYSIS
[152]
논문
LEPTOSPIRA ICTEROIDES AND YELLOW FEVER
[153]
기타
[154]
서적
背信の科学者たち
[155]
잡지
[156]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57]
웹사이트
Hideyo Noguchi
http://www.nobelpriz[...]
[158]
기타
[159]
기타
[160]
웹사이트
図書館だより 第148号
https://www.library.[...]
2004-08-06
[161]
서적
嘘八百これでもか!!! -昭和戰前編-
文春文庫
[162]
웹사이트
野口英世記念医学賞
http://www.noguchihi[...]
[163]
웹사이트
感染症の早期封じ込めを目指す:ガーナの野口記念医学研究所に「先端感染症研究センター」が完成
https://www.jica.go.[...]
JICA
2019-04-08
[164]
기타
[165]
웹사이트
野口英世の里郵便局
http://miwachan_.web[...]
[166]
웹사이트
野口英世の父・佐代助 ”天才”の血受け継ぐ人物?
http://www.minyu-net[...]
福島民友
2009-10-07
[167]
서적
野口英世
岩波書店
[168]
서적
野口英世―21世紀に生きる
日本経済評論社
[169]
서적
NOGUCHI
Harper
[170]
서적
Maverick's Progress
http://books.google.[...]
[171]
뉴스
Streetscapes/Rockefeller University, 62nd to 68th Streets Along the East River; From a Child's Death Came a Medical Institute's Birth
http://query.nytimes[...]
New York Times
2001-02-25
[172]
잡지
Fame, Failure, and Yellowjack
http://www.asm.org/m[...]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04-05
[173]
논문
Experimental research in syphilis with especial reference to Spirochaeta pallida (Treponema pallidum)
[174]
논문
Hideyo Noguchi's Luetin Experiment and the Antivivisectionists
1985-03
[175]
웹사이트
Reviews and Notes: History of Medicine: Subjected to Science: Human Experimentation in America before the Second World War
http://www.annals.or[...]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1995-07-15
[176]
뉴스
Dr. Noguchi is Dead, Martyr of Science. Bacteriologist of Rockefeller Institute Dies of Yellow Fever on Gold Coast. Japanese, Ranked With Pasteur and Metchnikoff, Found Carrier of Own Disease.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1928-05-22
[177]
웹사이트
Yellow Fever blurb
http://www.bbc.co.uk[...]
[178]
서적
Corrupted Science
Facts, Figures & Fun
2007
[179]
웹사이트
http://www.hankyu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